부모님 싸운 후 냉랭한 가족 단톡방 상황 ㄷㄷㄷ
페이지 정보
본문
현대차그룹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원화값 절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골자는 현대차ㆍ기아차간 수출지역 조정과 현지형 저가형 모델 확대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현대차와 기아차 수출지역 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가 강세인 지역에서는 기아차가 수출을 자제하고, 기아차 수출이 잘 되는 지역에서는 현대차가 물량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집안 식구끼리 '제살깎기' 경쟁을 자제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현대ㆍ기아차는 최근 박정인 수석 부회장 산하에 수출조정 담당부서를 신설해 수출조정 담당 부사장에 이종훈 전 기아차 미국법인장을 임명했다. ◆ 현대는 미국, 기아는 유럽 주력 = 이종훈 부사장은 입사 후 현대차와 기아차에서 주로 북미 등에서 주재원 활동을 해온 대표적인 국외통으로 꼽힌다. 따라서 이 부사장은 박정인 부회장 지휘를 받아 현대차와 기아차 수출이 중복되 피스톨게임주소 면서 수익성이 떨어지는 지역을 추려서 양사 수출물량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미국을 비롯한 북미지역에 주력하는 대신 기아차는 현대차보다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유럽지역에 승부수를 던지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는 미국시장 취향에 맞춘 차종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미국 앨라배마 현지공장에서 생산되는 중형 세단인 쏘나타를 비롯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싼타페ㆍ투싼이 원화 강세 속에서도 비교적 선전하고 있는 모델이다. 현대차는 내년 2월께 북미시장에 고급형 SUV인 베라크루즈를 출시해 북미시장 공략에 대대적으로 나선다. 반면 기아차는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1호차가 양산된 유럽형 준중형 모델인 '씨드'를 비롯해 유럽인 취향에 맞는 SUV로 평가받는 쏘렌토와 스포티지를 주력 모델로 내세워 유럽시장에 '올인'한다는 계획이다. 또 같은 국가라도 현대차와 기아차가 판매거점을 달리 운영해 상대방이 강세인 지역에서 출혈경쟁을 피하는 방식으로 현대차와 기아차간 시너지 효과를 살리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시장에서 현대차는 기아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펜실베이니아주 마이애미주 텍사스주에 주력하고, 기아차는 현대차 강세지역을 피해 다른 지역에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는 방식이다. ◆ 현지형 저가모델 확대 = 현대차그룹은 '환율피해'와 '경쟁 격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중국 인도 등 성장시장에 대해서는 현지형 저가모델 확대를 꾀하고 있다. 기아차 중국합자법인인 둥펑위에다기아는 지난달 열린 베이징모터쇼에서 선보인 프라이드(현지명 리오)를 내년 초부터 생산ㆍ판매할 계획이다. 프라이드는 중국 차종별 시장에서 C2(1600~1800㏄)급과 함께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1(1300~1600㏄)급 시장을 겨냥해 1400㏄와 1600㏄ 두 가지 모델로 시장에 판매될 예정이다. 이형근 둥펑위에다기아 총경리(부사장)는 "프라이드는 범퍼를 키우고 내부 인테리어를 밝게 하는 등 중국 소비자 눈높이에 맞췄다"며 "프라이드를 쎄라토와 함께 중국시장 주력상품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아토스(현지명 상트로)로 정상권을 유지하고 있는 인도차시장 수성을 위해서도 저가형 모델 확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인도시장은 최근 원화값 절상 외에도 도요타 등 일본차와 포드 등 주요 메이커들이 진출해 현대차가 수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최근 인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경쟁사들이 현대차 주력모델을 겨냥한 저가차를 속속 내놓고 있다. 현대차도 현지인 취향에 맞는 차를 저렴하게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국성 기자 / 백순기 기자] 피스톨게임주소 면서 수익성이 떨어지는 지역을 추려서 양사 수출물량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미국을 비롯한 북미지역에 주력하는 대신 기아차는 현대차보다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유럽지역에 승부수를 던지는 전략을 펼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는 미국시장 취향에 맞춘 차종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미국 앨라배마 현지공장에서 생산되는 중형 세단인 쏘나타를 비롯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싼타페ㆍ투싼이 원화 강세 속에서도 비교적 선전하고 있는 모델이다. 현대차는 내년 2월께 북미시장에 고급형 SUV인 베라크루즈를 출시해 북미시장 공략에 대대적으로 나선다. 반면 기아차는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1호차가 양산된 유럽형 준중형 모델인 '씨드'를 비롯해 유럽인 취향에 맞는 SUV로 평가받는 쏘렌토와 스포티지를 주력 모델로 내세워 유럽시장에 '올인'한다는 계획이다. 또 같은 국가라도 현대차와 기아차가 판매거점을 달리 운영해 상대방이 강세인 지역에서 출혈경쟁을 피하는 방식으로 현대차와 기아차간 시너지 효과를 살리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시장에서 현대차는 기아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펜실베이니아주 마이애미주 텍사스주에 주력하고, 기아차는 현대차 강세지역을 피해 다른 지역에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는 방식이다. ◆ 현지형 저가모델 확대 = 현대차그룹은 '환율피해'와 '경쟁 격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중국 인도 등 성장시장에 대해서는 현지형 저가모델 확대를 꾀하고 있다. 기아차 중국합자법인인 둥펑위에다기아는 지난달 열린 베이징모터쇼에서 선보인 프라이드(현지명 리오)를 내년 초부터 생산ㆍ판매할 계획이다. 프라이드는 중국 차종별 시장에서 C2(1600~1800㏄)급과 함께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1(1300~1600㏄)급 시장을 겨냥해 1400㏄와 1600㏄ 두 가지 모델로 시장에 판매될 예정이다. 이형근 둥펑위에다기아 총경리(부사장)는 "프라이드는 범퍼를 키우고 내부 인테리어를 밝게 하는 등 중국 소비자 눈높이에 맞췄다"며 "프라이드를 쎄라토와 함께 중국시장 주력상품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아토스(현지명 상트로)로 정상권을 유지하고 있는 인도차시장 수성을 위해서도 저가형 모델 확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인도시장은 최근 원화값 절상 외에도 도요타 등 일본차와 포드 등 주요 메이커들이 진출해 현대차가 수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최근 인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경쟁사들이 현대차 주력모델을 겨냥한 저가차를 속속 내놓고 있다. 현대차도 현지인 취향에 맞는 차를 저렴하게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국성 기자 / 백순기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